
2023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층에 자산형성 기회를 만들어 주기 위한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, 월 40만~7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액의 3~6%를 보태주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
쉽게 말해,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5년 후에 5,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.
✔️ 청년 납입액 : 월 40만~70만 원
✔️ 정부 기여금 : 납입액의 최대 6%
✔️ 이자 : 시중은행의 5년 만기 적금 + 가산 금리
2023 청년도약계좌 조건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만 신청이 가능합니다. 나이 만 19세~34세, 개인 소득 6,000만 원 이하, 가구 소득 중위 180% 이하라면 신청 할 수 있습니다.
✔️ 나이 : 만 19세 ~ 34세
✔️ 개인소득 : 6,000만 원 이하
✔️ 가구 소득 : 중위소득 180% 이하
❓중위소득 이란? 정부가 복지 지원 사업에서 수급자 선정기준으로 활용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 값을 말합니다.
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 5인 가구 | 6인 가구 | |
중위소득 180% | 3,740,206 | 6,221,079 | 7,982,669 | 9,721,735 | 11,395,238 | 13,010,365 |
위 표를 살펴보면 2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 6,221,079원 이하, 3인 가구의 경우 7,982,669원, 4인 가구의 경우 9,721,735원 이하 일 경우 신청 대상이 됩니다.
❗조건을 살펴보면 청년도약계좌는 대부분의 청년이 가입 가능 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. 조건이 맞다면 반드시 신청하여서 목돈을 마련하기를 추천드립니다.
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기간
2023년 하반기 (6월) 출시 예정입니다. 추후 업데이트 됩니다.
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여부
2022년 2월에 출시 된 청년희망적금은 대부분의 청년들이 관심을 가졌던 상품 중 하나였습니다. ‘2년만기, 연 10%의 금리’ 라는 메리트가 있었기 때문에 약 2주 동안 286만명의 가입자가 신청 할 정도로 인기 있었는데요.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중복 여부에 대해서 많은 청년들은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. 현 상황은 협의 중이라고 합니다.
정부가 입장 발표해야 명확하게 알 수 있겠지만 저의 생각으로는 불가능 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.
여기까지 2023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 기간 방법 그리고 청년희망적금 중복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